'번역연습'에 해당되는 글 4건
- 2020.06.24
- 2020.06.23
- 2020.06.22
- 2020.06.18
몇일전 북한은 남북 공동 연락 사무소를 폭파했습니다.
북한은 탈북자들이 살포한 대북 전단지로 도발된 북한 최고 존엄의 위상이 실추되어 이러한 조치를 취한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행동은 북한이 미국과 남측으로부터 강제적 양보를 얻기위한 물리적 시위라는 분석이 있습니다.
* 아래 뉴스의 출처는 https://cbsnews.com/이며, 모든 해석과 어휘는 유튜버 김성백의 생생영어 강의에 근거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Q8od7V4K7EgEUdVKr48bHQ*
강의: https://youtu.be/ZLbco5ULDXM
[기사]
북한의 남북 공동사무소 폭파 후 고조되고 있는 긴장
Tensions are high after North Korea demolished a building used to hold talks with South Korea,
북한이 남한과의 대화의 장이었던 건물을 폭파한 후 남북의 긴장관계는 상당히 고조된 상황입니다.
but tonight the regime is threatening military action.
그러데 오늘밤 북한 정권은 군사 행동에 나설수 있다고 위협을 가하고 있습니다.
CBS's Margatet Brennan reports.
CBS의 마가렡 브레난이 보도합니다.
The statement from North Korea was subtle: blowing up the office for diplomacy in Keasong that it had opened up in 2018 with South Korea, and making good on a threat issued by Kim Yo-jong, Kim Jong-un's increasingly powerful sister.
북한의 성명은 노골적이었습니다. 즉, 북한이 남한과 2018년에 개설한 개성의 외교 사무소 폭파와 날이갈수록 권력이 강해지고 있는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이 취한 위협의 실제적인 행동이였습니다.
She also said troops are preparing to surge into DMZ.
그녀는 또한 병력이 비무장지대(국경)로 집결할 준비가 되었다고 말했습니다.
That's where President Trump took a symbolic step into North Korea last year to shake hands with Kim Jong-un.
그곳은 바로 트럼프 대통령이 작년 김정은과의 악수를 위해 북한으로 상징적 발걸음을 옮겼던 곳이었습니다.
But diplomacy has stalled.
그러나 이러한 외교관계는 멈쳐섰습니다.
The regime continues to test short-range missiles and has produced enough nuclear material for dozens of weapons.
북한 정권은 계속해서 단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을하는가 하면 수십개의 핵무기를 위한 충분한 핵물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North Korea said today's action was provoked by South Korean activist who had sent anti-Kim leaflets across the border.
북한에 따르면 북측의 오늘 행동은 국경을 넘어 대북 전단(삐라)을 살포한 남한의 운동가들에 의해 도발되어진 행동이었다고 합니다.
The Trump administration called the action counterproductive, careful language meant to keep alife President Turmp's signiture foreign policy initiative.
트럼프 미 행정부는 북한의 조치를 부작용만 초례힌(역효과만 낳은) 조치였다고 명명했습니다.
이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표적인 외교 정책을 계속 유지하기위한 취지를 담아 신중히 단어를 선택한 것입니다.
North Korea often ratchets up tension in election years in the hope of extracting consessions.
북한은 강제적으로 양보를 얻기위해 선거가 있는 해에 주로 긴장관계를 고조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어휘]
demolish v.t.: to completely destory a building
talks: formal discussions between governments, organizations etc
subtle adj.: not very obvious or noticiable
liaison N: an instant or a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groups or units of an organization
cf) a joint liaison office
blow up : to destory sth, or to be destroyed, by an explosion
make good on the promise : to do something you promised
= keep a promise = make a promise = deliver a promise
surge V: to suddenly move very quickly in a particular direction
stall v.i.: to stop making progress or developing
leaflet N: a peice of paper which gives you information or advertises sth
language N: the system of communication in speech and writing that is used by people or particular country
ex) How many languages do you speak? / the Japanese language
language UC: a particular style of speaking or writing
ex) bad/foul/strong language; leagal/medical/technical language(=term)
ratchet up: to increase sth by a small amount
extract v.t.: to obtain information, money etc., often by taking it from sb who is unwilling to give it
concessions N: sth that you allow sb to have in order to end an argument or a disagreement
[EBSe 영어뉴스] Near Zero (0) | 2020.07.06 |
---|---|
[EBSe 영어뉴스] Germany Drought (0) | 2020.07.01 |
[Korea Bizwire] Reselling Sneakers a Gold Mine for Young Koreans (0) | 2020.06.23 |
[EBSe 영어뉴스] Alternative Medicine (0) | 2020.06.22 |
[CNN] China flexes military muscle amid coronavirus pandemic (0) | 2020.06.18 |
스니커테크가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뜨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기존 고가 명품에 투자하는 재테크인 ‘샤테크(샤넬+재테크)’ ‘루테크(루이뷔통+재테크)’ ‘롤테크(롤렉스+재테크)의 뒤를 이어 고가 한정판 스니커즈를 구매한 뒤 되팔아 이익을 챙기는 ‘스니커테크(스니커즈+재테크)’가 20대 사이에서 열풍을 불고 있습니다.
나이키가 아이스크림 브랜드 벤 앤 제리스와 콜로보로 발매한 스니커즈는 12만9천원에 발매하였습니다.
추첨 방식으로 판매된 이 운동화는, 단 3일만에 한 리셀 마켓에서 1,630%의 수익율을 기록하며 210만원에 판매되었습니다.
여기서 리셀이란 쓰던 물건을 사고 파는 기존의 중고 거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신제품을 구매한 뒤, 새제품 그대로 몇 일 뒤에 출시 가격보다 높은 가격인 시장가격에 되파는 밀레니얼 세대의 ‘신종 재테크’인 셈입니다.
밀레니얼 세대는 한정판 운동화 구매를 위해서라면 매장 앞에서 출시 전날부터 노숙도 마다하지 않습니다.
이는 보통 리셀 거래로 얻는 수익률은 출시 가격의 1,000%에 달하기 때문입니다.
리셀 거래는 20대를 중심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들 사이에서는 운동화는 단순한 재화가 아닌, 투자하여 이익을 낼 수 있는 주식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기사]
출처: http://koreabizwire.com/reselling-sneakers-a-gold-mine-for-young-koreans/161335
The “Nike X Ben & Jerry’s Chunky Dunky” sneakers, created as part of a collaboration between the multinational footwear brand Nike and the premium ice cream brand Ben & Jerry’s, were released at a price of 129,000 won (US$105) on May 26.
Just three days after the sneakers were released and sold by drawing lots, they were selling for a whopping 2.1 million won, a 1,630 percent increase from their release price, on the resale platform ‘XXBlue.’
In other words, the buyers who purchased the sneakers for 129,000 won could chalk up a profit of about 1.9 million won just three days later.
Sneaker resale is gaining popularity as a new money-making technique, particularly among 20-somethings in South Korea.
Sneaker resale does not refer to the transaction of used sneakers. Instead, it’s becoming a new way to make money for millennials who are willing to wait days in front of sneaker shops to buy newly-released models.
After buying, they can resell the brand-new sneakers at a price about 1,000 percent higher than the release price. As such, sneakers are more like stocks rather than commodities, and can be listed and traded on resale platforms.
[어휘]
a gold mine: a business or activity that produces large profits
= a moneymaker = a moneyspinner = a cash cow
draw / cast lots: too choose something or somebody by lot
chalk up sth: to succeed in getting sth
[요약연습]
Sneaking down the street, a long line of shoppers flock to one sneaker shop, all of them hoping to get their hands on the limited-editon sneakers. The sneakers were released at a price of 129,000 won and were sold by casting lots. In just three days, the sneakers were traded to the tune of 2,100,000 won on a resale market, giving the buyers a high profit. Sneaker resale has recently become a huge moneymaker among Millenials in Korea. Yet, reselling is far different from a secondhand deal. This is the newly formed technique to make it possible for the young to get a high return via resale platforms. A score of avid sneaker buyers even don’t mind camping overnight in front of sneaker shops just ahead of the release of new models. The young see sneakers as their stocks to invest in rather than goods.
[EBSe 영어뉴스] Germany Drought (0) | 2020.07.01 |
---|---|
[CBS] Tensions rise after North Korea blows up liaison office (0) | 2020.06.24 |
[EBSe 영어뉴스] Alternative Medicine (0) | 2020.06.22 |
[CNN] China flexes military muscle amid coronavirus pandemic (0) | 2020.06.18 |
[UPI] Pop-up drive-in theaters bring movies back in New Jersey, New York (0) | 2020.06.17 |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가짜 뉴스와 이에 따른 민간요법 또한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코로나에 대응하려는 세계 각국의 다양한 민간요법은 코로나 대안 치료법이라는 미명하에 중국, 인도 등 기타 국가에서 환영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민간요법으로는 중국의 솽황롄과 닭고기 수프, 인도의 소 오줌과 똥, 한국은 김치와 마늘 등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을 이러한 민간요법의 효과는 입증되지 않았으며 근거 또한 불충분하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기사]
* 뉴스 원문, 해석, 어휘는 EBSe 영어뉴스 강의안에 근거하였습니다. *
https://home.ebse.co.kr/ebsenews/replay/3/list?courseId=ER2016G0NEW01ZZ&stepId=ET2016G0NEW0101#mp4_player
Alternative Medicine
대체 의학요법
Some people are turning to alternative medicine to treat Covid-19 symptons, especially in India and China.
일부 사람들은, 특히 인도아 중국에서는 코로나19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대체 의약품에 의존하기 시작했습니다.
The two countries have long traditions of using such treatments, and people may have limited access to conventional medicine.
양국은 그런 치료법을 사용하는 오래된 전동을 갖고 있으며, 사람들은 주류 의학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Chinese government even claimed that combining herbal medicine with conventional medicine helped the country deal with the outbreak.
중국 정부는 한의학과 현대의학을 결합하는 것이 코로나19 발병 대응에 도움이 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But some published reports of patients treated in China make no mention of alternative remedies, instead quoting established treatments such as respiratory support and drugs to prevent additional infections.
그러나 중국의 환자 치료에 대한 발간된 보고서에는 대체 민간요법에대한 어떠한 언급도 없으며, 대신 호흡기 지원이나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한 약 등 인정받는 치료법만 인용하고 있습니다.
Some experts also warn against alternative medicine which have not been proven to work and sometimes make no sense.
일부 전문가들 또한 효염이 입증되어지도 않고 어떤 경우에는 이해가 안되는 민간요법에 대해 경고합니다.
[CBS] Tensions rise after North Korea blows up liaison office (0) | 2020.06.24 |
---|---|
[Korea Bizwire] Reselling Sneakers a Gold Mine for Young Koreans (0) | 2020.06.23 |
[CNN] China flexes military muscle amid coronavirus pandemic (0) | 2020.06.18 |
[UPI] Pop-up drive-in theaters bring movies back in New Jersey, New York (0) | 2020.06.17 |
[Breaking News] Panic buying sparks toilet paper shortage. (0) | 2020.03.25 |
전세계가 코로나19로 정신이 없는 상황에, 중국은 이를 틈타 군사력을 과시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중국은 신형 항공모함을 실험 운행하는가 하면, 베이징 열병식에서 신형 미사일 기술을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또한, 인도와의 국경지역에 중국 병력을 배치해 언성을 사고 있습니다.
미국과 미국의 우방국 등 여타 아시아 국가들에게 가장 큰 걱정거리는 남중국해입니다.
중국은 남중국해를 자국 영토로 주장하고 있지만 국제 사법재판소는 법적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습니다.
이는 중국이 코로나19의 위기 상황을 이용해 군사적 영향력을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는 증거로 보여집니다.
* 아래 뉴스의 출처는 https://edition.cnn.com이며, 모든 해석과 어휘는 유튜버 김성백의 생생영어 강의에 근거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Q8od7V4K7EgEUdVKr48bHQ*
[뉴스]
sorce: https://www.youtube.com/watch?v=D8Kw_S3KIWk
코로나19 틈타 중국 군사력 과시
Touting what it's calling a success in containing the novel coronivirus outbreak, China is now shifting its focus to military preparedness.
코로나19 퇴치가 성공적이라고 공개적으로 평가한 후, 중국은 이제 군의 준비태세로 관심을 옮기고 있습니다.
A Chines military expert is even warning that a direct conflict is possilbe between China and the U.S.
심지어 한 중국 군사 전문가에 따르면 중구과 미국 사이의 직접적인 충돌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China is flexing its military muscles, trialing its new aircraft carries at sea a few weeks ago
군사력을 과시하고 있는데요, 몇 주 전에는 신형 항모를 시범 운항했으며,
and last year, parading some of its latest missile technology through Beijing.
작년 베이징 열병식에서는 최신 미사일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President Xi Jinping addressed China's National People's Congress, saying China should comprehensively strengthen the training of troops and combat preparedness.
시진핑 주석은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연설을 통해 병력 훈련과 전투 태세를 대대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In recent weeks, Chinese troops were sent to China's border with India.
최근 몇 주간, 중국 병력은 인도와의 국경지대에 배치되었습니다.
The two countries disputing territorial claims.
양국은 영유권 분쟁 중입니다.
But among the areas the most concerning for the U.S and its allies, the South China Sea.
그러나 미국과 미국의 우방국에게 가장 걱정되는 지역 중 하나는 남중국해입니다.
China claims these waters as sovereign territory within a designated boundary, which an international tribunal dismissed as without legal basis.
중국은 남중국해는 지정 경계내의 자국 영토로 주장하고 있데요, 국제 사법재판소는 이런 중국의 주장을 법적 근거가 없다며 기각했습니다.
Nevertheless, China has built up its naval presence here.
그런데도 중국은 자국 해군의 존재감을 확대했습니다.
It's constructed islands where recent satellite images appear to show more permanent military bases.
중국은 인공섬을 건설하였는데요, 최근 인공위성 사진을 보면 영구적은 군사 시설이 더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Some Southeast Asian nations have alleged China has even harassed foreign vessels carrying out oil exploration and fishing.
몇몇 동남아 국가들은 중국이 심지어는 석유 탐사와 어업을 하는 외국 선박을 공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What has happened out there in recent months is most alarming to the U.S, its allies, and other Asian countries.
최근 몇달 동안 이곳에서 일어난 사태는 미국, 미국의 동맹국, 여타 동남아 국가들에게는 가장 큰 걱정거리로 자리 잡았습니다.
They see it as China using this moment, when other countries are distracted with their own conronavirus outbreaks, to become increasingly aggressive.
그들은 중국이 다른 나라들이 코비드19로 정신이 없는 상황을 이용해서 더욱 공격적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Experts are now calling for a channel for negotiations to ease the tension between the two sides, but that seems increasingly unlikely.
전문가들은 양측의 긴장을 해수하기 위해 협상 채널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날이갈수록 가능성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Korea Bizwire] Reselling Sneakers a Gold Mine for Young Koreans (0) | 2020.06.23 |
---|---|
[EBSe 영어뉴스] Alternative Medicine (0) | 2020.06.22 |
[UPI] Pop-up drive-in theaters bring movies back in New Jersey, New York (0) | 2020.06.17 |
[Breaking News] Panic buying sparks toilet paper shortage. (0) | 2020.03.25 |
[Breaking News] The end of New York's pay phones. (0) | 2020.03.24 |